최근 원룸부터 아파트까지 내가 사는 집을 원하는 대로 만드는 '집 꾸미기' 열풍이 일면서, 셀프 인테리어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SNS, 유튜브 등에서도 셀프 인테리어에 대한 다양한 노하우를 찾아볼 수 있으며, 관련 제품들의 출시도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셀프 인테리어를 상업 인테리어 영역에 적용하는 데는 고민이 필요하다. 상업 인테리어는 홈 인테리어와 달리, 매장 운영을 위해 고려해야 하는 사항들이 많다. 설비 등을 위해 대규모 공사가 필요한 경우가 많고, 매장 수익과 직결되다 보니 더욱 전문적인 전략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해 상업 인테리어 전문 '인테리어베이' 관계자는 셀프 인테리어 수요가 크게 늘면서 상업 시설에도 셀프 인테리어 시도를 하는 경우가 많다도배를 하거나 가구, 소품 등을 놓는 일이라면 셀프 인테리어만으로도 충분하지만, 가게 운영에 필요한 설비를 추가해야 할 때는 전문적인 기술이 없다면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크다고 설명했다.

 

이어 상업 시설은 매장의 컨셉과 고객의 동선 등에 따라 고객 유입 및 매출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업 인테리어 영역의 전문 지식을 갖춘 전문가와 충분한 상담을 통해 진행하는 것이 좋다업체의 전문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그간 실제 시공한 인테리어 포트폴리오를 확인해 보는 것이 도움이 되며, 인테리어 과정에서 충분한 상담을 진행하는지, 합리적인 견적을 제시하는지, 고객의 니즈를 충분히 반영해 주는지 등을 꼼꼼히 확인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했다.

 

 

이런 가운데 인테리어베이는 다년간 축적한 인테리어 포트폴리오를 고객에게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포트폴리오는 업종별로 정리되어 비슷한 업종의 인테리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최신 인테리어 트렌드를 확인해 원하는 컨셉을 구체화할 수 있다.

 

아울러 실시간 전문가와의 1:1 상담 시스템을 통해 사무실, 카페, 식당, 헬스장, 미용실, 병원, 학원 등 업종에 따른 전문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업종별 전문가와 충분한 상담을 통해 전체적인 인테리어 방향을 정하며, 고객 니즈를 최우선으로 최신 인테리어 트렌드와 업종 특성, 주요 소비층, 고객 동선 등을 고려한 고객 맞춤 인테리어 디자인 설계를 진행한다.

 

고객 문의 후 방문 시에는 2D, 3D 디자인 설계를 무료로 제공해 인테리어 완성 후를 확인할 수 있으며, 표준시공을 원칙으로 실 견적 산출을 통한 합리적인 비용을 제시하고 있다. 인테리어 완성 후에도 체계적인 A/S 서비스를 제공하여, 높은 고객 만족도를 기반으로 2020~2022년 대한민국브랜드평가 고객만족 브랜드 인테리어 부문 1위에 3년 연속 선정된 바 있다.

 

 

 

 

 

 

 

 

 

출처 : 파이낸스투데이

 오명훈 기자

 원본링크 : https://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07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