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업 인테리어는 기존 공간의 정리부터 마무리 청소까지 공정에 따라 우선순위가 정해져, 그 순서에 따라 진행된다. 공정별로 필요한 설비와 그에 따른 비용, 시간 등이 다르므로, 상업 인테리어를 계획하고 있다면 상업 인테리어 공정에 대한 이해가 필수다.
상업 인테리어는 일반적으로 기존 공간을 철거하고 정리하는 과정부터 시작하며, ▷전기 및 설비 시공 ▷목공사 ▷도장 및 마감 공사 ▷전기 마감 및 조명 설치 ▷사인물 및 가구 설치 ▷마무리 청소 ▷최종 점검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
각 단계의 공정이 완료되어야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어, 특정 공정에 문제가 생기면 추가 비용이 발생하거나 공사 기간이 늘어날 수 있다. 이에 이러한 인테리어 과정에 대한 이해가 없다면, 소통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공사 품질이 저하되거나 불필요한 비용이 추가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철거, 정리 과정에서는 구조물의 상태와 배관 노출 등을 확인하고, 다음 공정들을 위한 정리를 진행한다. 이때 소음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민원 대비를 고려해야 하며, 공용공간이 손상되지 않도록 조치해야 한다. 철거로 나온 폐기물 처리 작업도 필요하다.
전기 및 설비 시공은 벽체, 마감재 작업 전에 진행되어야 한다. 조명이나 콘센트 배선의 위치, 에어컨 위치, 급∙배수 라인 등을 도면에 따라 꼼꼼하게 실측하여, 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목공사는 인테리어의 주요 뼈대를 구성하는 과정으로, 벽체와 가구 골조, 천장 몰딩 등의 기본 틀을 잡는 단계다. 도면과 시공이 정밀하게 일치해야 전체적인 인테리어 완성도도 높아진다.
도장 및 마감 공사 단계에서는 페인트 작업과 벽지, 타일 등의 공사를 진행하는데, 꼼꼼한 작업을 통해 시각적 완성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전기 마감 및 조명 설치 단계에서는 미리 시공된 배선 위에 콘센트와 스위치, 조명 등이 설치된다. 차후 가구 이동, 조도 균형 등을 모두 고려하여 알맞은 위치에 조명과 콘센트 등이 설치되는지 확인해야 불편함 없는 사용이 가능하다.
사인물 및 가구 설치 단계에서는 매장에 필요한 간판과 벽면 사인, 가구 등이 배치된다. 전체적인 매장 분위기를 좌우하는 과정으로, 인테리어 컨셉과 잘 부합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지막에는 현장을 깨끗이 청소한 뒤 최종 점검을 진행한다. 전기 및 설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시공 누락 사항이나 파손은 없는지 등을 확인하고, A/S가 필요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다. 이때 완공 후의 사진을 남겨놓으면 이후 A/S를 받을 때 도움이 된다.
상업 인테리어 전문 인테리어베이 관계자는 “식당이나 카페, 사무실, 학원, 미용실, 헬스장, 병원 등의 상업 인테리어 시 전체적인 공정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있으면, 예상치 못한 문제나 위기에 보다 능동적인 대처가 가능하다”며 “업체와 원활한 소통이 가능해 원하는 방향으로 인테리어를 진행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상업 인테리어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실시간 전문가와의 1:1 상담 시스템을 구축하고, 업종별 전문가 배치와 무료 포트폴리오 제공 등의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충분한 상담을 통해 고객 니즈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최우선으로 업종 특성과 최신 인테리어 트렌드, 매장 입지, 주요 소비층 특성 등을 반영한 인테리어 디자인을 제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고객 문의 후 방문 시에는 2D, 3D 디자인을 무료로 제공하며, 공사 도중 사소한 문제라도 고객과 의사소통을 통해 해결하고 있다”며 “공사 완료 후에도 체계적인 A/S 서비스를 제공하며, 높은 고객 만족도를 달성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인테리어베이는 2020년~2022년 대한민국브랜드평가 고객만족 브랜드 인테리어 부문 1위에 3년 연속 선정된 바 있다.
출처 : 지피코리아
박한용 기자
원본링크 : https://www.gp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128483